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아이디를 통해 가져와서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래스로 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간단한 설명도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https://didimdol20.tistory.com/76?category=1032931

 

 

먼저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파일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는 방법 3가지 중 이번에 두 번째 방법인

id로 가져오는 것을 하고자 하는데요 

클래스로 가져오는 방법과는 달리 이번엔 

 

document.getElementByID("ID명") 을 이용해주시면 됩니다.

클래스와는 달리 뒤에 [0] 안붙여주셔도 됩니다.

 

 

바로 코드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html입니다. 아래 script를 통해 꼭 js파일을 연동해주셔야

합니다. 깜박하고 연동시켜주지 않을 시에는

동작이 되지 않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1 id="test">안녕하세요</h1>
    <button id="btn">변경</button>

    <script src="js.js"></script>
</body>
</html>

 

 

이제 여기에서 먼저 버튼을 가져와서 메세지를 띄우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그전에 혹시라도 addEventListener이 나올 텐데 모르는 분이 있으시다면,

이벤트를 등록하는 함수입니다. 

 

alert()함수는 메시지 창 이 나오게 하는 함수입니다.

 

 

 

var btn = document.getElementById("btn");

btn.addEventListener("click",function(){
    alert("등록");
})

 

 

 

이렇게 해서 버튼을 클릭하게 된다면

 

 

 

 

 

제가 등록한 코드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문장을 변경하고 싶을 경우 textContent나 innerHTML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var btn = document.getElementById("btn");

btn.addEventListener("click",function(){
    document.getElementById("test").innerHTML = "반갑습니다.";
})

 

 

이렇게 추가 해주고 나서 다시 버튼을 클릭해보면

글이 바뀌게 됩니다.

 

 

 


정리

 

1. 아이디를 이용해서 가져올 경우

document.getElementById("ID명") 을 이용하면 된다.

 

2. class와 같은 방법으로 innerHTML 또는 textContent로 글자를 변경한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HTML을 꾸며주는 CSS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간단하게 HTML과 CSS를 설명드리자면

 

HTML은 구조나 뼈대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CSS는 그 만들어진 것을 꾸며주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HTML은 집 구조를 만들었다 치고

CSS는 인테리어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인라인 스타일(Inline style)

2.내부 스타일 시트(internal style sheet)

3.외부 스타일 시트(External style sheet)

이 3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이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인라인 스타일입니다.

 

 

인라인 스타일은 태그 바로 안의 스타일을 넣어 꾸며주는 것인데요.

<h1 style="color:green;">안녕하세요</h1>

 

이렇게 HTML 태그 안으로 넣어주시면 CSS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빨리 확인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개발자 도구에서 변경을 하시면 바로 인라인 스타일에 들어가 있는 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다시 원 코드내에 해야 완전하게 적용됩니다.

 

 

 

 

2. 내부 스타일 시트

 

내부 스타일 시트 방법은

태그 안으로 넣는 것이 아니라 html 문서 내부에 스타일 시트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style>
        .test{
            color: blue;
        }
    </style>
</head>
<body>
    <h1 class="test">안녕하세요</h1>
</body>
</html>

 

 

이렇게 style 시트 안에 넣어서 바꾸고 싶은 것을 가져오는데요.

태그만 선택해서 할수도 있습니다만, 그렇게 되면 모든 태그가 다 바뀌기 때문에

클래스나 아이디를 통해 바꾸고 싶은 것들만 바꾸게 됩니다.

클래스 같은 경우 .클래스명

아이디 같은 경우 #아이디명

 

이렇게 해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에서는 클래스를 가지고 바꾸기 때문에. test를 이용한 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우선수위에 따라 인라인 스타일과 내부 스타일 방법이 같이 있을 경우 인라인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빨리 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죠.

 

 

 

3. 외부 스타일 시트

이 방법이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봤을 경우 가장 많이 보는 방법일 것입니다.

link를 통해 다른 css 파일을 연동하는 것인데요.

head부분에 link를 통해 외부 css파일을 연동시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s.css">
    
</head>
<body>
    <h1 class="test">안녕하세요</h1>
</body>
</html>

 

 

이렇게 타이틀 아랫부분을 보시면 link를 통해 연동시킵니다. 다만 혹시라도 연동이 잘되지 않는다면,

href 경로 부분을 확인해보셔야 할 것입니다. 파일 이름이 다르거나 또는 경로가 달라서 그럴 것입니다.

보통 html 파일과 css파일을 같이 생성하시겠지만 다른 폴더에 생성했을 경우는 ./ 를 통해

해당 위치에 가셔야 합니다.

 

css 파일에 코드를 이렇습니다.

 

 

.test{
    color: red;
}

 

 

 

이렇게 하게 되면 색깔이 빨간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다만 이것도 우선순위가 1. 인라인 2. 내부 스타일 3. 외부 스타일 

이런 식이라 혹시라도 인라인이나 내부 스타일을 적용했을 경우 외부 스타일과 겹치면

생각한 것처럼 적용이 안됩니다.

그럴 경우 인라인이나 내부 스타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CSS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CSS 중 calc에 관한 오류가 발생하면 해결법을

알려드리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결과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정리를 봐주시면 됩니다.

 

calc() 함수는 괄호 안의 식을 계산한 결과를 속성 값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함수입니다.

이렇게 calc함수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도중 갑자기 생각한 것처럼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습니다.

 

 

분명 계산한 식이라면

 

대화 상자가 더 커져서 끝까지 가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왜 안되는지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자 도구를 통해 스타일을 확인해봤는데요.

 

여기서 잠깐 혹시 개발 공부를 하지 않으신 분에 한해,

크롬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하는데 F12를 누르면 개발자 도구가 열리게 됩니다.

여기서 마우스 커서 버튼이 있는 곳을 누른 후 확인하고 싶으신 부분을 클릭하시면 스타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확인을 해보니깐 오류가 떠서 적용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줄로 그어진 부분입니다.

해결법은 간단합니다.

그냥 연산 앞 뒤를 띄어주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calc() 함수의 연산 씩 앞 뒤는 띄어줘야 실행이 가능하는데요?

즉,

calc(100% - 70px);

이렇게 바꾸어주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결과도 그렇고 개발자 도구에서 확인해도 잘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리

 

개발자 도구에서 확인해봤을 때 줄이 그어져 있는 상태에서

invalid property value 가 뜨고 있다면,

calc함수 연산 부분이 붙어져 있는지 확인한다.

calc() 함수는 연산 부호 앞 뒤가 띄어져 있어야 한다.

ex) calc(100% - 70px);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아시겠지만 Visual Studio Code와 Visual Studio는 다른 에디터라는 점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글을 몇 번 썼지만 아직 제가 사용하는 에디터를 설치하는 방법을

올리지 않아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Visual Studio Code는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오픈소스로 개발하고 있는 소스코드 에디터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를 이용해서 간단한 실습을 하는데 이용하고 있습니다.

 

Visual Studio Code(이하 VS Code)를 설치하려면 먼저 원하시는 사이트에서 Vscode 또는 Visual Studio Code만

입력해줘도 바로 첫 줄에 나올 것입니다.

 

먼저 혹시나 귀찮으신 분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저는 구글에서 실행해봤습니다.

 

 

 

 

이렇게 첫 줄에 나오는 것을 클릭해서 들어가 보면

 

 

 

다음과 같이 뜨게 되는데요.  기본으로는 저는 윈도우만 사용해봐서

윈도우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셔도 문제없이 설치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윈도우로 설치하셨다면 아래 두 방법은 넘어가셔도 됩니다.

 

 

혹시나 MacOs나 리눅스를 사용하신다거나

다운로드 옆에 아래로 내려가는

 

 

화살표를 눌러주시면 다음처럼 나옵니다.

 

또는 32비트를 사용 중이시다면 아래 Other Downloads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제 이곳에서 맞는 버전을 클릭해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이후 천천히 동의하면서 다음을 누르고 경로 및 이름을 선택하게 되면

마지막에 편의를 위한 옵션 선택이 나오게 됩니다.

 

 

 

 

 

 

 

혹시라도 위 단계가 각 각 궁금하시다면 위부터 차례대로입니다.

 

1.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2와 3. 폴더나 파일을 VSCode로 바로 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마우스로 우클릭하게 되면 메뉴에 Code로 열기를 표시해주는 작업입니다.

(보통 마우스로 우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 이용하는 것입니다.)

4. VSCode를 기본 편집기로 사용합니다.

5. PATH에 추가: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code를 입력하면 VSCode가 바로 실행됩니다.

 

 

이렇게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셨으면 다음을 눌러 설치를 완료하게 됩니다.

간단히 VSCode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